![]() |
Profile: 나가노 유타카 | |
현재 KAN의 서포트 기타리스트로서 투어나 레코딩에 활동하는 다재다능한 기타리스트. 펑키 리듬 워크로부터 락 필이 흘러넘치는 솔로 워크, 호흡감이 있는 오브리 가드 등 폭넓은 음악성을 가지는 기타리스트. 사운드 메이킹를 포함한 악기, 장비쪽의 조예가 깊어, BOSS나 롤랜드의 강사로서 호평을 얻고 있다. | ![]() |
|
최근 `그 무렵 페니레인` 이라고`라고 하는 영화의 DVD를 샀습니다. 이 영화 70년대의 락 씬을 배경으로 그려진 영화로 꽤 재미있게 볼 수 있었습니다. 연주 씬에서의 레스폴의 소리도 좋은 소리를 내고 있었습니다. `그 무렵`의 음악을 좋아하는 쪽으로 보지 않은 분에게는 추천입니다! |
음의 찌그러짐을 만들자! | ||||||
그런데 전 회에서
위와같이 디스토션 계 사운드를 만드는 방법을 썼습니다만, 이번으로부터 디스토션 계 이펙터의 톤워킹을 테마로 해 보려고 생각합니다. | ||||||
`이번 사용 장비` 이번은, 기타는 펜더 스트라토 캐스터, 앰프는 GT-6의 COSM AM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
|
컴팩트 이펙터 |
다양한 메이커로부터 도대체 얼마나의 수가 발매되고 있을까 모릅니다만, 방대한 수의 디스토션 계 이펙터가 존재합니다. 그 만큼 기타리스트의 가치관도 여러가지라고 하는 것이겠지요. 나는 컬렉터가 아닙니다만, 생각해보면 수십개의 디스토션 계 이펙터가 집에 있는 상태입니다. 현재 BOSS에서도 여러기종이 라인 업 되고 있습니다 (소리 샘플은 아래 URL을 참조하세요). http://www.bossus.com/interactive/compact_pedal_demo/ 매 회 장황하지만 (웃음), 기타&앰프의 편성에 의해 소리가 달라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디스토션 계 이펙터는 타입에 의해 오버드라이브계라든지 디스토션계라든지 퍼즈계라든지 불립니다. 오버드라이브계는 디스토션이 약하지만 따뜻한 사운드, 디스토션계는 하드하게 찌그러져 모난 사운드, 퍼즈계는 몹시 거칠고 유연한 사운드라고 하는 이미지입니다. 우선은 오버드라이브를 상기의(2) 방법으로 사용했을 경우로부터…. |
SD-1 과 OD-1 | |||||||||||||
대표적인 오버드라이브로 현재에도 인기가 있는 SD-1의 소리로부터 들어 봅시다.
SD-1은 이 OD-1에 톤 컨트롤을 붙인 모델로, 기본적으로는 같은 계통의 이펙터입니다. `SD-1으로 OD-1은 소리가 다릅니까?`라든지 `역시 OD-1은 명기`라고 한 의문이나 의견은 자주 듣습니다만, 나자신은 `다르다고 하면 다르지만, 똑같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SD-1은 톤이 뒤따르고 있으므로 사운드의 배리에이션이 넓은 것입니다만, 그 만큼 섬세한 설정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합니다. 또 디스토션의 양은 약간 SD-1이 강한 이미지입니다만, 이것도 톤의 설정에 따른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
OD-20 | |||||||||||||||
다음에 트윈 페달 시리즈의 디스토션 계 이펙터 `OD-20 `를 소개합시다. 이것은 다양한 디스토션을 모델링 해, 1대로 22 종류의 디스토션을 만들어 낼 수가 있는 이펙터입니다. 이미 제조 중지가 되어 있는 것도 포함한 `BOSS의 디스토션`, 앰프적인 디스토션을 노린 `오리지날`, 그리고 BOSS 이외의 메이커의 `명기로 불리고 있는 디스토션`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여러가지 소리를 내고 싶은 기타리스트에게는 추천입니다.
그러면 이 안의 `OD-1`의 소리를 들어 보세요.
어떻습니까? OD-1보다 조금 배음이 많이 현대적인 소리로 보다 사용하기 쉽게 느껴집니다. 그러나 이 OD-20은 단지 소리가 많은 것 뿐아니라 파라미터의 설정으로 보다 폭넓은 소리 만들기를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DRIVE`노브를 `TURBO`라고 표시되고 있는 곳까지 올리면 `OD-1`보다 강력하게 디스토션됩니다.
즉 `음색적으로는 OD-1을 좋아하지만, 좀 더 찌그러졌으면 좋겠다`라고 하는 사운드를 간단하게 만들어 낼 수가 있습니다. 또 `TONE`와`BOTTOM`를 병용 하는 것으로써 `중역에 특징이 있는 OD-1 사운드`에 저역이나 고역을 더할 수가 있습니다.
그 외, ATTACK SHAPE(강한 어택음에 대해 배음을 늘리거나 줄이거나 할 수 있다), HEAVY OCTAVE(저음부에게만 옥타브 낮은 소리를 추가할 수 있다)라고 하는 파라미터가 있어, 이것들을 22개의 모드와 조합하면, 그 사운드 배리에이션은 무한하다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
디스토션계 이펙터와 디스토션계 앰프 |
디스토션 계 이펙터를 디스토션 계 앰프와 조합해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경우 이펙터의 디스토션의 양과 앰프의 디스토션 상태를 여러 가지 바꾸어 보면 놀라울 정도의 사운드 배리에이션을 낳을 수가 있습니다. 단, 양쪽 모두의 디스토션을 너무 올려 버리면 노이즈도 증가하고, 음향적 재생작용의 원인으로도 되기 때문에 조정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부스터적 사용법 (OD-1의 조합) |
전회 기타측의 음량을 내리면 디스토션의 양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썼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앰프에 입력되는 음량을 올려 주면 디스토션의 양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목적으로 한 `부스터`라고 불리는 이펙터도 있습니다만, 요점은 음량을 거론되면 어떤 이펙터(예를 들면 컴프레서나 이퀄라이저)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스토션 계 이펙터를 이 `부스터적`으로 사용할 방법이 현재는 일반적으로 되어 있습니다. 실은 OD-1이 명기라고 말해지고 있는 것은 이 사용법에서의 소리도 평가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실험해 봅시다! |
우선 아래와 같은 소리를 들어 보세요.
다음에 OD-1의 `LEVEL`를 최대로 해 마셜계의 소리와 조합해 봅시다.
|
부스터적 사용법 SD-1의 조합 | ||||||||
|
부스터적 사용법 (기타등등) | ||||||||||||
●DS-1을 사용했을 경우
●OD-20(OD-1 모드)의 경우
|
|
그렇게 말한 이유로 모든 디스토션 계는 부스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브라이언 메이의 교칙 비디오를 보았을 때에 `부스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렇게 소리가 나지 않는다`라고 말하고 있었을 때의 소리가 정말로 쇼크여서 깜짝 놀란 것을 생각해 냈습니다. 퀸의 사운드에는 부스터가 불가결했던 이유죠. 여러분도 여러 가지 시험해 자신만의 사운드를 찾아내 주세요. 다음번도 좀 더 디스토션 계 이펙트에 관한 이야기를 쓰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다음에 만나요~ |